가성비가 좋은 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블루호스트, FastComet, ChemiCloud, GreenGeeks 등 해외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호스팅에서는 트래픽과 공간이 무제한 제공되므로 저렴하게 가성비가 우수한 웹호스팅을 찾는 경우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유호스팅에서는 파일 개수 제한이 있습니다. 호스팅에 따라 200,000개부터 500,000개 사이의 제한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저렴하면서 괜찮은 웹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패스트코멧, 케미클라우드와 같은 호스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케미클라우드는 서울 서버를 추가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빠른 속도를 보여줍니다.
케미클라우드(ChemiCloud) 호스팅 서울 서버 추가
케미클라우드(ChemiCloud)는 우리나라에는 덜 알려졌지만 블루호스트, 패스트코멧 등과 비슷한 레벨의 해외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ChemiCloud는 사용자 평가가 좋은 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작년부터
avada.tistory.com
국내호스팅을 원하는 경우에는 카페24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공유호스팅 파일 개수 제한(+블루호스트, FastComet, ChemiCloud 등)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아이노드 제한(Innode Limit; 이노드 제한)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파일 개수 제한이라고도 하는데요. 아이노드에 대하여 FastComet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The inode count is equal to the count of all files and directories in the user account
즉, 아이노드 개수는 사용자 계정 내의 모든 파일 및 디렉터리 개수와 동일합니다.
호스팅에 따라 허용되는 파일 개수가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은 허용되는 최대 파일 개수가 200,000개이고 PRO 상품에서는 300,000개까지 허용됩니다.
케미클라우드 워드프레스 호스팅의 경우 25만 개에서 50만 개 사이의 아이노드 제한이 적용됩니다.
각 호스팅들의 최대 파일 개수 제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 Basic, Plus, Choice Plus: 200,000개
-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 Pro: 300,000개
- FastComet 공유호스팅: 25만 개 ~ 50만 개 (Extra 상품: 50만개)
- ChemiCloud 워드프레스 호스팅: 25만 개 ~ 50만 개
- GreenGeeks 공유호스팅: 200,000개
- Stablehost 공유호스팅: 250,000개
한 두 개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파일 개수 제한이 그리 중요하지 않지만, 하나의 계정에 10개 혹은 100개의 도메인을 연결하여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파일 개수 제한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파일 개수 제한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최근 아이노드 제한(이노드 제한; INODE LIMIT: 최대 파일 개수 제한) 초과 문제로 인해 이미지 파일 업로드가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아이노드 제한 초과 문제를 호소하는 분은 처음이었는데요. 이 때문에 아이노드 제한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파일들을 많이 올려야 하는 경우나 많은 사이트를 한 계정에서 운영해야 한다면 파일 개수 제한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이 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매우 많은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아이노드 제한 초과로 인해 업로드가 제한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공유호스팅은 대부분 아이노드 제한이 있고, 카페24 등 국내 호스팅은 디스크 용량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많은 파일을 호스팅해야 하는 경우 클라우드웨이즈나 AWS 등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클라우드웨이즈의 아이노드 제한
저는 1년 전에 블루호스트에서 클라우드웨이즈로 대부분의 사이트를 이전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의 경우 서버 크기에 따라 아이노드 제한이 다를 것 같습니다. 4GB 램 크기의 서버에서 아이노드 제한을 체크해보니 3,000만 개가 넘네요. 공유호스팅에 비해 60~100배 정도 많은 편입니다.
애플리케이션별로 사용 중인 아이노드 개수를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공유호스팅에서 파일 개수 제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국내의 공유호스팅에도 비슷한 제한이 있을 것 같습니다만, 국내 호스팅에서는 보통 디스크 크기가 제한하므로 많은 파일을 업로드할 경우 공간 부족을 먼저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Linux 시스템에는 허용하는 아이노드 개수가 정해져 있습니다(시스템에 따라 아이노드 개수는 다르다고 합니다). 공유호스팅에서는 많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공유하게 되므로 일부 사용자가 지나치게 많은 아이노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아이노드 개수 제한이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avada.tistory.com/3046
해외웹호스팅: 클라우드웨이즈 vs. 블루호스트 vs. 카페24 비교 (Cloudways vs. Bluehost vs. Cafe24)
저는 오랫동안 블루호스트(Bluehost)를 이용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 웹호스팅 서비스도 함께 이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중요하지 않는 블로그는 Bluehost에서 호스팅되고
avada.tistory.com
https://avada.tistory.com/2536
아마존 AWS에서 국내 호스팅으로 워드프레스 이전 작업
며칠 전에 아마존 AWS에서 호스팅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국내 호스팅 중 하나인 카페24로 이전하는 작업을 맡았습니다. Amazon AWS/라이트세일을 이용하면 사이트 속도가 빨라서 SEO에 유리한 면
avad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