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챗GPT의 대항마로 그록 3(Grok 3)를 출시함에 따라 생성형 AI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진 것 같습니다. 더구나 중국의 딥시크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는 유료 버전을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록 3는 공개되던 날에는 x.com의 프리미엄 요금제에서만 지원되었지만 그 다음날 무료로 풀렸습니다. 저는 그록 3 공개되던 날에 프리미엄 요금제에 가입했습니다.😥
챗GPT에서는 저작권 있는 이미지나 캐릭터와 관련하여 이미지 생성을 요청하면 저작권 때문에 이미지 생성을 거부합니다. 하지만 그록 3는 저작권 여부에 관계없이 이미지를 생성해 주는 것 같습니다. 다만, 생성된 이미지의 사용으로 인한 책임은 사용자가 지도록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챗GPT vs. 그록 3: 저작권 있는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 생성
저는 챗GPT를 사용하여 블로그 글에 대한 썸네일(특성 이미지)을 자주 생성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간혹 저작권 문제 때문이 이미지가 기대한 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레스와 Wix 비교에 대한 글에 사용할 특성 이미지 생성을 챗GPT에 요구하니 다음과 같은 이미지를 생성해 주었습니다.

워드프레스 로고와 윅스 로고를 사용해 달라고 하니 저작권 문제 때문에 이미지 생성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사실 워드프레스 로고와 Wix 로고를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챗GPT는 여기에 대하여 민감하게 대하는 것 같습니다.
그록 3에서 동일한 프롬프트로 이미지 생성을 요구하니 WordPress와 Wix 로고를 적당히 활용/변형하여 이미지를 만들어주네요.

그록 3에서 이미지 생성을 요청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4개의 이미지를 보통 생성해 줍니다.
슈퍼맨과 배트맨이 싸우는 모습을 만화로 그려달라고 요청하니 ChatGPT에서는 저작권 있는 캐릭터의 이미지는 생성할 수 없다는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이에 반해 그록 3에서는 저작권 있는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도 자유롭게 그려주네요.

다만 저작권 있는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의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해당 이미지의 사용으로 인한 책임은 사용자가 지도록 하는 것이 그록3의 정책인 것 같습니다.
마치며
챗GPT 유료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록 3는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유료 요금제에는 가입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그록 3를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극찬했지만 실제 성능은 챗GPT와 비슷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현재 최적화가 진행 중이라고 하므로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지금보다 더욱 향상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록 3는 이미지 생성 기능도 지원하므로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 그록 3에서 테스트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https://avada.tistory.com/3551
챗GPT 팀 요금제로 전환
저는 챗GPT Plus 요금제가 출시되자마자 곧바로 유료 요금제를 사용해 왔습니다. OpenAI는 Plus 요금제와는 별도로 월 200달러짜리 Pro 요금제를 내놓았습니다. 어떤 기사를 보면 월 2,000달러짜리 요금
avada.tistory.com
https://avada.tistory.com/3530
블로그 포스팅 요약 GPT: 챗GPT로 URL 내용 요약하여 SNS나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글이나 워드프레스 블로그 글을 페이스북이나 네이버 블로그 등에 공유하려는 경우 직접 요약문을 작성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챗GPT에 URL을 입력하고
avad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