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를 다국어 사이트로 운영하고 싶은 경우 WPML과 같은 다국어 번역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PML 플러그인으로 다국어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기본적인 설정)
WPML을 사용하면 처음 다국어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만들더라도 쉽게 다국어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Building a Multilingual WordPress Site in 3 Minutes with WPML(WPML로 3분만에 다국어 워드프레스 사이트 구축하기)"이라는 글을 참고하였습니다. 처음 WPML을 설치한 후에 기본적은 설정을 하고 곧바로 번역을 시작할 때 참고하면 좋을 듯 합니다.
www.thewordcracker.com
WPML은 최근 자동번역 기능을 제공하지만 기본적으로 번역은 인간이 하게 됩니다. 자동번역 기능을 사용하여 번역한 후에 수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동 번역 서비스 GTranslate를 이용한 일본어 사이트의 애드센스 수익
다른 방법으로 구글번역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다국어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다국어 번역 메뉴를 추가하는 경우, 번역된 문서에 대하여 고유주소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구글 등의 검색엔진에 전혀 노출되지 않습니다. 즉, 그냥 구글번역기로 번역할 수 있는 메뉴를 하나 추가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GTranslate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모든 콘텐츠(또는 일부 콘텐츠)를 모든 언어 또는 지정한 언어로 자동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번역기의 성능이 아직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번역된 문서의 품질이 기대 이하일 수 있습니다. (언어에 대해 잘 아는 경우 어색한 번역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Translate 유료 플랜을 이용하여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다국어로 자동번역하기
GTranslate를 무료 버전을 설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유료 버전이 궁금하여 잠시 사용해보았습니다. GTranslate 유료 플랜을 정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15일 동안 시험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www.thewordcracker.com
※ GTranslate 서비스는 워드프레스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GTranslate에 직접 문의해보면 가능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사이트의 경우 직접 번역하여 다국어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사이트인 경우 이 서비스를 이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일본어 버전만 추가하여 현재 운영하고 있습니다. 번역 품질은... 저도 모릅니다. 제가 일본어를 전혀 몰라서요.ㅠ (일본어를 잘 안다면 번역 오류를 수정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WordPress 情報パッケージ
WordPress、ホームページ、 Avada, Enfold、Divi、テーマ、プラグインデータ、 Bluehost, SiteGroundは、Webホスティング、海外ホスティング、Wix
ja.thewordcracker.com
다만, 없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믿음을 가지고 일본어 버전을 추가했습니다. 처음에는 영어 버전을 비롯한 모든 언어 버전을 추가했지만 영어 버전의 번역 품질에 실망하여 일본어만 남겨두고 모두 제거했습니다.
최근 한 달 동안 일본어 버전의 애드센스 수익을 살펴보았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이 9.93달러가 나왔는데요. 일본어 버전을 유지하는 데 월 9.99달러가 소요되고 있습니다.ㅎ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광고를 최소화하여 광고 수익률이 그리 높은 편이 아닙니다. 만약 광고를 더 많이 배치한다면 애드센스 수익은 조금 증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험적으로 GTranslate 서비스를 통해 일본어 버전을 추가하여 현재 1년 반 정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기준으로 페이지뷰가 월 1만 회 정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콘텐츠에 비해 페이지뷰는 매우 낮은 편입니다. (생각해보니 일본 검색엔진을 통해 유입을 늘리려면 야후재팬에 사이트를 등록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본어를 모르니...ㅠㅠ 야후재팬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이 있는지 알아봐야겠습니다.)
2021년 4월 업데이트:
지난 30일간 일본어 사이트 수익을 살펴보니 34달러 정도로 이전보다 수익이 증가했습니다. GTranslate 유료 서비스 비용이 10달러이므로 순이익은 24달러 정도입니다.ㅎ
GTranslate에서 en.example.com처럼 서브도메인 형식을 이용하려면 도메인에 대하여 A 레코드 DNS 정보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en.example.com의 경우 en과 www.en에 대한 A 레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블루호스트에 A 레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블루호스트 상품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다를 수 있습니다. 방법을 이해하면 인터페이스가 달라도 쉽게 설정이 가능할 것입니다.
참고:
https://avada.tistory.com/3046
해외웹호스팅: 클라우드웨이즈 vs. 블루호스트 vs. 카페24 비교 (Cloudways vs. Bluehost vs. Cafe24)
저는 오랫동안 블루호스트(Bluehost)를 이용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 웹호스팅 서비스도 함께 이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중요하지 않는 블로그는 Bluehost에서 호스팅되고
avada.tistory.com
※가성비 좋은 웹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블루호스트를 고려할 수 있지만, 블루호스트는 미국 서버만 제공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속도가 느리다는 불만이 많습니다. 블루호스트의 대안으로 비슷한 레벨의 케미클라우드(ChemiCloud)가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는 2024년 7월에 서울 서버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속도가 빠릅니다.
https://cafe.naver.com/wphomepage/41922
💚서울 서버를 제공하는 ChemiCloud 워드프레스 호스팅 가입 방법 및 워드프레스 설치
블루호스트 등 해외호스팅은 국내호스팅에 비해 디스크 용량과 트래픽면에서 훨씬 유리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특히 무거운 테마를 설치하면 속도가 느려지는 경...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