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AWS에서 서버를 생성하여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고 있는 클라이언트께서 서버 다운그레이드를 고민하다 클라우드웨이즈로 사이트를 이전하는 작업을 의뢰하셨습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살펴보니 멀티사이트였고 SFTP/SSH와 phpMyAdmin 등에 접속할 수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워드프레스 내에서 이중으로 백업하여 클라우드웨이즈로 사이트 이전을 시도했습니다.
아마존 AWS에서 클라우드웨이즈로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이전 작업
AWS에서 서버를 다운그레이드하는 작업은 초보자에게 쉽지 않습니다. 서버 전문가를 고용하거나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고 기존 사이트를 새 서버로 이사하는 방법으로 서버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의 경우 서버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서버 크기를 다운그레이드하는 것은 조금 번거롭습니다. 하지만 AWS나 Vultr에서 직접 서버를 관리할 때보다는 훨씬 쉽습니다. 서버 복제 작업을 하고 도메인의 IP 주소를 재설정하는 방식으로 가능합니다.
아마존 AWS에서 서버 비용으로 한 달에 17만원 정도 들어서 클라우드웨이즈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Vultr 등의 서버를 쉽게 관리하고 싶거나 방문자 수가 많거나 사이트 규모가 큰 경우에는 클라우드웨이즈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하는 단계이거나 방문자 수가 그리 많지 않은 경우에는 블루호스트와 비슷한 레벨의 가성비 좋은 저렴한 해외 공유호스팅 중 하나인 케미클라우드(ChemiCloud)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는 서울 서버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 속도가 빠릅니다.
AWS에서 클라우드웨이즈로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이전
AWS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사이트 건강에서 살펴보니 워드프레스 설치 경로가 /var/www/html/wordpress/로 되어 있네요.
작업을 맡기 전에는 일반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라 생각했지만, 백업을 위해 접속해 보니 멀티사이트네요.😀
멀티사이트의 이전은 일반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싱글 사이트)에 비해 까다로운 편입니다.
클라께서 클라우드웨이즈에서 Vultr High Frequency, 4GB 램, 128GB NVMe 디스크, 서울 리전 서버를 생성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은 Multisite Version 6.2.2가 선택되어 설치되었습니다.
멀티사이트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싱글 사이트와 다릅니다. 워드프레스 로고 4개가 있는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도메인은 호스팅 케이알에서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호스팅 케이알에서 도메인의 IP 주소를 변경했습니다.
도메인의 IP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 IP 주소가 반영되려면 1~2시간 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SSL 인증서 오류가 발생하면 클라우드웨이즈에서 도메인을 추가하고 SSL 인증서 설치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이 연결되면 클라우드웨이즈에 설치된 워드프레스에 로그인하여 멀티사이트를 설치한 다음, 사이트 이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멀티사이트의 경우 DB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수동으로 이전하는 것이 안전한 것 같습니다. 이번 건의 경우 SFTP/SSH에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워드프레스에 로그인하여 이중으로 백업하여 이전을 시도했습니다. All-in-One WP Migration과 같은 마이그레이션 플러그인은 무료 버전에서 멀티사이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이트를 이전한 후에는 기존 사이트(이 경우 AWS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2일 이상 유지한 후에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DNS (도메인 네임 시스템) 레코드 정보가 전파되는 데 최대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이전이나 기타 워드프레스 또는 웹호스팅 관련 문제를 어려움을 겪는 경우 여기에서 서비스(유료)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https://avada.tistory.com/3554
https://avada.tistory.com/3553
https://avada.tistory.com/2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