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URL 검사 시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451)"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URL을 검사할 때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451)" 오류가 반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대하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이 오류가 발생한다는 분이 계시네요. HTTP 451 응답 코드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페이지나 리소스가 저작권 문제, 정부의 법적 규제, 법원 명령, 데이터 보호법 등 법적인 이유로 인해 접근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입니다. 주로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법적 제한이 있거나, 해당 콘텐츠가 법적으로 제공될 수 없는 경우에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URL 검사 시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451)"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URL 검사 시 아래 그림과 같이 "OK (200)" 응답 결과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제가 운영하는 모든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응답 결과가 반환됩니다.
사이트에 오류가 있을 경우 사이트 문제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가 반환됩니다. 예를 들어, "Internal Server Error (500)"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오류가 발생하면 네이버나 구글 등에 제대로 색인이 안 되어 SEO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URL 검사 시 "Internal Server Error (500)"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URL 검사를 통해 사이트나 포스트가 색인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RL 검사 시 OK (200)이 검사 결과로 반환되어야 하지만, 아래
avada.tistory.com
매우 드물지만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451)" 오류가 반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HTTP 451 오류의 의미
HTTP 451은 "법적인 이유로 이용 불가(Unavailable For Legal Reasons)"를 의미하는 HTTP 상태 코드이며, 사용자가 요청한 리소스나 웹페이지가 법적인 이유로 액세스할 수 없음을 뜻합니다.
이 코드의 숫자 451은 레이 브래드버리의 디스토피아 소설 《화씨 451》에서 따온 것이라고 합니다. 이 소설에서는 책이 금지된 세계를 그리고 있는데, 즉 검열과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HTTP 451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HTTP 451 오류가 반환될 수 있습니다:
- 법적 규제: 정부나 관련 기관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법적으로 제한한 경우
- 저작권 위반: 저작권을 침해하는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 지역 규제: 특정 지역에서만 액세스가 제한되는 콘텐츠
- 데이터 보호 규정 위반: EU의 GDPR과 같은 데이터 보호법을 위반하는 콘텐츠의 경우
- 법원 명령: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도록 법원이 명령한 경우
위와 같이 HTTP 451 오류는 법적 이슈와 관련된 것으로 국가에서 검열하는 콘텐츠의 경우에도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obots.txt 파일에 의해 접근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 것 같지만, 일반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는 robots.txt에 네이버 접근을 금지하는 코드가 추가될 일이 없기 때문에 robots.txt와는 관련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작권 문제, 지역 규제, 법적 명령 등에 의하여 콘텐츠가 차단되는 경우에 이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므로 사이트에서 법적 위반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가 없는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회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민감한 내용의 콘텐츠도 검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민감한 주제(예: 탄핵등)의 콘텐츠는 가급적 작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특히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 등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콘텐츠를 작성하면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되거나 계정 정지 조치를 당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이런 제한으로부터 자유롭지만, 국내 호스팅을 이용할 경우 웹호스팅 업체에게 누군가가 클레임을 걸면 제한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외호스팅은 대체로 자유롭지만, 마찬가지로 해외호스팅 업체로 누군가가 클레임을 걸면 먼저 호스팅 업체의 법률팀으로부터 해당 사안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이메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10년 동안 해외호스팅을 이용하면서 한 번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저작권 침해 자료가 아니지만, 해외의 한 업체가 호스팅 업체에 제 글 중 하나가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클레임을 건 적이 있습니다. 당시 해명을 하고 잘 넘어간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에서는 특정 종교 단체나 정치적인 이슈 등에 대한 콘텐츠를 작성하면 신고가 들어갈 경우 곧바로 해당 글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고 해명을 해도 잘 풀어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성적관련 콘텐츠로 인식되면 계정이 곧바로 정지되거나 해지될 수도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수시로 백업을 하여(1개월에 한 번씩 백업 가능), 계정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워드프레스 등으로 이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티스토리 백업 파일을 이용하여 워드프레스로 이사하기 (업데이트) -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티스토리에서는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 이후 글과 이미지를 백업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백업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이사하거나 웹 스크래핑 방식으로 데이터를 옮길 수 있습니다. 이
www.thewordcracker.com
참고
https://avada.tistory.com/3644
5개 티스토리 블로그를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작업
어제는 5개 티스토리 블로그를 워드프레스 사이트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클라께서 5개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셨는데, 한 개 블로그가 영구 정지가 당하면서 나머지 블로그
avada.tistory.com
https://avada.tistory.com/2299
GeneratePress 테마로 워드프레스 블로그 세팅 예시 (How to Customize GP)
워드프레스 테마 중에서 GeneratePress 테마가 속도가 빠르고 커스텀하기에 좋아서 저는 거의 대부분 사이트에 이 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테마를 사용하는 사이트/블로그가 점차 늘어나는
avada.tistory.com
https://avada.tistory.com/3046
해외웹호스팅: 클라우드웨이즈 vs. 블루호스트 vs. 카페24 비교 (Cloudways vs. Bluehost vs. Cafe24)
저는 오랫동안 블루호스트(Bluehost)를 이용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 웹호스팅 서비스도 함께 이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중요하지 않는 블로그는 Bluehost에서 호스팅되고
avada.tistory.com